일반연구보고서

어린이집과 유치원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발견 및 발달지원 종합 대책 방안(Ⅰ): 실태조사 및 조기선별 도구 개발

어린이집과 유치원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발견 및 발달지원 종합 대책 방안(Ⅰ): 실태조사 및 조기선별 도구 개발 관련 이미지 입니다.
  • 연구책임자강은진
  • 공동연구자권미경,박창현,최윤경,박혜원,최일선,이경옥,김형미,양성은,김영아
  • 출판일2022-12-31
  • 보고서번호연구보고 2022-26||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22-72-01

목차

♣ 연구보고서: https://kicce.re.kr/main/board/view.do?menu_idx=230&board_idx=48546&manage_idx=102&old_menu_idx=0&old_manage_idx=0&old_board_idx=0&group_depth=0&parent_idx=0&group_idx=0&group_ord=0&viewMode=NORMAL&search_text=&rowCount=10&viewPage=1

♣ 러닝메이트: https://kicce.re.kr/main/board/view.do?menu_idx=261&board_idx=48492&manage_idx=126&old_menu_idx=0&old_manage_idx=0&old_board_idx=0&group_depth=0&parent_idx=0&group_idx=0&group_ord=0&viewMode=NORMAL&search_text=&rowCount=10&viewPage=1

♣ 러닝메이트 교사용 홍보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7mV7LCsNGl8

♣ 러닝메이트 부모용 홍보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N0e6Eb1W_Bo

요약문

요약 1

Ⅰ.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
2. 연구 내용: 1차년도 20
3. 연구방법 21
4. 용어 정의 및 연구의 범위 40

Ⅱ. 연구의 배경 41
1. 국내 장애위험 영유아 관련 규정 및 제도 43
2. 해외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체계 60
3. 국내외 장애위험 영유아 관련 선행연구 73
4. 국내외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선별 도구 84
5. 소결 및 시사점 91

Ⅲ. 국내 장애위험 및 장애 영유아 지원 사업 현황 95
1. 조기발견 및 진단 지원 사업 97
2. 장애 영유아 교육・보육 서비스 108
3. 장애 영유아 지원을 위한 전달체계 현황 114
4. 발달지원 바우처 서비스: 지역사회서비스원 사업 127
5. 장애위험 영유아 및 가족지원 우수 사례 142
6. 소결 및 시사점 176

Ⅳ.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장애위험 영유아 실태 및 요구 조사 181
1. 응답 대상의 일반적 특징 183
2. 장애위험 영유아 지도 경험 및 조치 방법 191
3. 장애위험 영유아 선별 및 지원 방안에 대한 요구 219
4. 장애위험 영유아의 통합적 지원 요구 255
5. 소결 및 시사점 267
Ⅴ. 교사용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선별 도구 개발 271
1. 조기선별 도구 개발 과정의 주요 결과 273
2. 예비조사를 위한 영유아 조기선별 검사도구 구성 311
3. 예비조사 결과 316
4. 한국 영유아발달 선별검사(K-SIED)의 구성 337

Ⅵ. 장애위험 영유아 지도를 위한 교사 안내 자료 357
1. 교사안내자료 개발 과정의 주요 결과 357
2. 교사지원 안내 자료의 구성의 방향 362
3. 러닝메이트 교사 안내 자료 366

Ⅶ. 정책 방안 367
1. 생애초기부터 건강한 성장을 연계・지원하는 체계 구축 369
2. 장애위험 영유아 모니터링을 위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역량 강화 380
3. 장애위험 영유아 담당 교사의 역량 지원 방안 384
4. 발달 러닝메이트(LeaR‧nning‧mate) 팀/센터의 코디네이션을 통한 통합지원체계 기반 구축 387
5. 영유아가 건강하고 안전한 환경이 되기 위한 체질 개선 394
6. 2차년도 연구 계획 및 추진 방안 399

참고문헌 401
Abstract 418
부록 421
부록 1. 설문조사 423
부록 2. 예비연구용 영유아발달선별검사도구 설문지 (연령집단별) 442
부록 3. 예비조사 결과 456
부록 4. K-SIED 결과 보고서 양식 458
부록 5. 아이의 발달속도에 따라 함께 걸어가는 러닝메이트, 교사지원자료 462

KICCE 자료활용

  • 조회수

    1210

  • 다운로드

    341

  • 좋아요

    4

  • SNS공유

    21

저작권 관련 링크 입니다.

육아정책연구소가 창작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자 강은진
다른 보고서

  • 영유아 양육 및 보건의료 통합지원 체계 구축자세히보기
  • 아동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학교환경 연구자세히보기
  • [2018 수시과제] 어린이집 오후 보육프로그램 운영 내실화 방안자세히보기
  • 보육교직원 전문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성 탐색 연구자세히보기
  • [2016 수시과제] 보육교직원 특별직무교육 개편방안연구 - 보육교직원 특별직무교육 교과목 개요 2016자세히보기
  • 보육교직원 특별직무교육 개편방안연구자세히보기
  • 아동인권 보호를 위한 CCTV의 설치 및 운영방안: 유치원·어린이집을 중심으로자세히보기
  • 학부모안심유치원 정책성과 분석 및 확대방안자세히보기
  • 유보통합 이후 유치원·어린이집 승급·연수체계 마련 연구자세히보기
  • 육아친화 중점 스마트시티 실현을 위한 리빙랩(living lab) 운영 방안 연구자세히보기
  •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의 직업행복감 증진 방안자세히보기
  • 출산수준 제고와 일·가정 양립을 위한 육아지원 내실화 방안(Ⅵ): 지역 맞춤형 육아지원 방안 연구자세히보기
  • 누리과정 효과성 분석 연구(Ⅱ): 누리과정 개정에 따른 KICCE 유아관찰척도 개발 및 시범적용자세히보기
  • 초저출산 사회 극복을 위한 육아친화마을 조성 방안 연구(Ⅱ): KICCE 육아친화마을 조성지표 지역별 맞춤형 시범 진단 및 적용자세히보기
  • 어린이집과 유치원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발견 및 발달지원 종합 대책 방안(Ⅰ): 실태조사 및 조기선별 도구 개발자세히보기
  • 어린이집과 유치원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발견 및 발달지원 종합 대책 방안(Ⅲ): 장애위험 영유아선별도구 표준화 및 지원모델 개발자세히보기
  •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환경조성 방안: 공간 구성 및 스마트기술을 중심으로자세히보기
  • 디지털 기반 유치원 교수·학습·평가(관찰) 관련 제도 정비 및 구현 방안 연구자세히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