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연구보고서
어린이집과 유치원 장애위험영유아 조기발견 및 발달지원 종합 대책 방안(Ⅱ): 부모용 도구 개발 및 가족 지원 방안
- 연구책임자김은설
- 공동연구자김아름, 김지현, 김희수, 전효정, 김민정, 고은경, 최일선, 김형미, 김영아, 김예진, 김용진, 최정원
- 출판일2023-12-31
- 보고서번호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23-81-01||연구보고 2023-27
요약문
요약 1
제1부 장애위험영유아 조기 발견 및 가족 지원 방안
Ⅰ.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
2. 연구 내용 18
3. 연구 방법 19
4. 보고서의 구성 26
Ⅱ. 연구의 배경 29
1. 장애위험영유아 개념과 조기 개입의 효과 29
2. 장애위험영유아 지원의 근거 법과 정책 36
3. 1차년도 연구의 주요 결과 48
Ⅲ. 해외 국가의 장애위험영유아 가족지원 제도 57
1. 미국 57
2. 독일 67
3. 호주 81
4. 뉴질랜드 86
5. 일본 91
6. 시사점 93
Ⅳ. 장애위험영유아 지원정책과 서비스 99
1. 주요 정책 사업 99
2. 장애위험영유아 지원 서비스 운영 사례 106
Ⅴ. 장애위험영유아 부모 요구 분석 133
1. 부모 심층면담 분석 133
2. 설문조사 결과 분석 152
Ⅵ. 장애위험영유아 지원 정책 제안 195
1. 제안의 근거: 장애위험영유아 지원 개선 관련 이슈 195
2. 장애위험영유아 조기(18개월 이전) 선별과 개입 방안 198
3. 가족지원 정책 방안 201
4. 서비스 체계의 개선 204
제2부 장애위험영유아 조기선별 부모용 도구 및 부모 지원 자료 개발
Ⅶ. 장애위험영유아 조기선별 부모용 도구 개발 211
1. 한국영유아발달 선별검사 부모용 도구(KSIED-P) 개발 과정 211
2. 예비조사를 위한 한국영유아발달 선별검사 부모용 도구 문항 구성 254
3. 예비조사 260
4. 소결 및 시사점 296
Ⅷ. 장애위험영유아 부모 지원 자료 개발 303
1. 장애위험영유아 부모 지원 자료 개발 배경 303
2. 장애위험영유아 부모 지원 자료 개발 절차 307
3. 장애위험영유아 부모 지원 자료 내용 구성 308
4. 장애위험영유아 부모 지원 자료 구성 방향 327
5. 부모 지원 자료집 구성 329
참고문헌 331
Abstract 347
부록 349
부록 1. 부모 설문조사표 349
부록 2. 최종 부모용 선별도구(KSEID-P) 질문지 364
부록 3. KSIED 부모용 결과 보고서 예시 380
부록 4. 장애위험영유아 부모 지원 자료집(일부) 386
KICCE 자료활용
육아정책연구소가 창작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자 김은설의
다른 보고서
- OECD TALIS 국제 유아교원 비교연구 - OECD TALIS Starting Strong Survey 2018 본조사 수행 사업 보고서 -자세히보기
- 영유아 교육·보육 효과성 제고를 위한 환경 조성 방안 -「교사 대 영유아 비율」의 적정 기준 마련 연구-자세히보기
- 농어촌 지역 영유아 교육·보육 실태 및 개선 방안자세히보기
- 유치원·어린이집 운영 실태 비교 및 요구 분석자세히보기
-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영유아기 인성교육 강화 방안자세히보기
- 영유아기 자녀 부모 특성별 부모교육 강화 방안자세히보기
- 육아지원기관 행·재정 체계의 통합 추진을 위한 단·중기 전략자세히보기
- 예비부모교육 실태와 내실화 방안 연구자세히보기
- 육아지원기관 부모교육·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자세히보기
- 한국인의 자녀 양육관 연구자세히보기